반응형 생산관리 직장인79 공정관리, 공정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김직장인입니다. 공정관리란 무엇인가? 를 보기 전에 먼저 공정이란 무엇인가? 를 생각해보겠습니다. 대충 공정이란 단어가 뭔지 감이 안오는 단어는 아니지만, 그래도 "야 너 공정이 뭔지 말해봐라" 고 물어보면대답하기에 편한 그런 질문은 아닐겁니다. 공정이란 것을 한 문장으로 말하자면, 제품을 만들기 위한 단계별 작업 과정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자동차를 만드는 공장이라고 가정을 해볼께요. 아~ 나도 현대차가고 싶다. 차량만들기 위해서는철판 절단용접도장조립검사의 단계를 거쳐야 완성차량이 하나 나올 것이고, 이 모든 단계가 각각 공정입니다.이 공정들이 순서대로, 문제없이 연결되어야 하나의 완성품이 나옵니다.공정 전문가라고 한다면 각각의 공정에 통달한 분들을 말하겠죠, 용접 전문가, 도장 전문가, .. 2025. 3. 21. 생산기술 직무의 해외출장은 어떤가요? 생산기술 직무에 지원하고 싶은데 해외출장 많이 가나요? 해외출장을 가고 싶어서 물어본건지, 아니면 해외출장을 가기 싫어서 물어본건지 마음속의 깊은 심오한 의도는 알 수 없었지만, 한번 생각해보겠습니다.일단 생산기술의 업무 범위를 볼께요, 제가 경험했던 생산기술담당자분들은 몇가지 분야로 나뉘었는데, 크게 설비 S/W, 그리고 설비 H/W 로 나뉘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구분법은 회사마다 그리고 회사의 규모, 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일단 설비 S/W 를 하는 분들은 설비에 들어가는 S/W 들을 관리합니다. 설비가 내 눈앞에 덩그렁 놓여 있다고 해서 사용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작게는 무언가를 절단하는 단순한 작업부터 엄청나게 복잡한 공정이 내재되어 있는 반도체 설비까지 기계에 무슨 버튼이 on/off.. 2024. 9. 19. 품질부서 지원하고 싶은데, 데이터 역량과 코딩 필요한가요? [품질쪽으로 가고 싶은데, 데이터 분석역량 또는 코딩능력어필로 품질경영기사 + 정보처리기사] 어떤가요? 품질부서로 가고 싶으신 모양입니다. 먼저, 품질부서에서는 어떤 일을 하는지 한번 확인해봅시다. 제조업의 회사를 예로 들어볼께요. 이 제조업에서는 A라는 제품을 만듭니다. 그리고 이 A를 만들다보면 불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당연한 겁니다.)A제품의 어떤 설계회로 안의 데이터 통신의 개선을 위해 좋은 설계를 적용했으나, 효과가 미미하여 B논문에서 언급된 내용을 적용, C물질을 투자 구매하여 테스트한 결과를 바탕으로 D제품으로 우선 적용, 신뢰성 600시간 테스트한 결과 이상치가 1000ppm 안으로 들어와 유효한 결과를 도출, C물질과 E제품을 사용한 보고서를 제출 및 논문작성을 하고 더불어 F고객사.. 2024. 9. 19. 생산관리와 디지털 트윈에 대한 이야기 공장에서의 자동화이야기가 나온지 벌써 10년이상이 넘은것 같습니다. 제가 생산관리를 하던 2015년경에도 공장이 자동화 된다던지, 스마트 공장이 된다는 이야기가 계속 나온던 때라, 자동화 공장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것은 꽤나 오래전으로 느껴집니다. 이미 많은 회사에서 공장을 자동화하여 운영중입니다. 4가지 공정을 지나 완성이 되는 제품이 있다고 가정하면, 예전에는 사람이 1, 2, 3, 4 설비 앞에 한명씩 서서 대기하고, 재공이 1번으로 오면 재공 박스를 열어 1번 설비에 투입하고, 대기했다가 작업이 완료 되면(보통 기계음이 크게 들립니다.) 1번 설비를 열어 재공을 꺼내고, 다시 2번 설비로 걸어서 가져다 주거나, 컨베이어 벨트를 태워 보내곤 합니다. 2번 설비에서는 똑같이 전달된 재공을 들어 설비투.. 2024. 9. 19. 이전 1 2 3 4 ··· 20 다음 mo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