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자 직장인20

개발자를 열받게 하는 말들 : 이거 버근가요? 안녕하세요, 김개발자입니다. 개발자로 일을 하다보면 그중에 가장 실력이 떨어지는 개발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장이 "아 저놈에게는 개발보다는 테스트나 시켜야겠다" 하는 경우인데요. 네 저였습니다. 신제품을 테스트를 하다 보면 가장 버그같은 것을 발견하는 것은 뭐 평범한 일상입니다. 하지만 난감한 것은 바로 이런 경우입니다.“이건 기능 오류일까, 아니면 명세서가 잘못된 걸까?”버그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명세서에 누락된 내용이고,고객이 알려준 명세에 맞게 작동하고 있는데 실제 사용자는 ‘이상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이 모호한 회색 지대는 소프트웨어 테스터가 가장 자주 마주하는 판단의 순간입니다.자 저 같은 경우에는 두가지 생각이 먼저 듭니다. - 와씨 이런것을 발견하다는 역시 나는 대단해 - 이거 .. 2025. 3. 21.
시스템 활용율에 대한 KPI, 점점 불어나는 KPI KPI가 중요하다는 것은 여러가지 이유로 알 수 있다. KPI 를 만드는 이유 (학생의 경우) 회사에서 일하다보면 자주 듣게 되는 이야기가 KPI가 뭐냐? KPI 가 있느냐? KPI 를 어떻게 만들고 평가하는가? 이다. 회사에서 만드는 KPI 도 이야기를 하겠지만, 먼저 우리가 학생일 경우를 가정해 manasoft.tistory.com KPI의 충돌 (영업팀과 지원팀)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 로 회사원들이 일을 하면서 기준으로 삼고 일을 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합니다. 한마디로 이 KPI 점수가 높으면 이것을 근거로 연봉협상을 잘 할 수 있는 것이고, 아무리 1 manasoft.tistory.com 생산관리 KPI 개선한 이야기 (매출실적, 평가의 어려움) 회사마다 다르겠지.. 2023. 11. 5.
수작업이 많은 업무의 위험성 요즘에 회사에서 DX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기존에 하던 일을 디지털화 하고, 개선해 나가는 일들을 말하는데, 벌써부터(?)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치고 있습니다. 디지털이라는 글자때문인지, 예전에 하던일인 소프트웨어 관련 일과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다보면 개발자들이 자신이 만든 코드를 공개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코드를 공개하면 자신이 부족함이 드러나지는 않을까, 또는 불이익이 두려워서, 만에 하나 있을 실수나 결함을 보이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뭔가 내가 만든 세계를 보여준다는 것이 조금 부끄럽기도 하구요 -_-; A라는 업무에 수작업이 많아서 자동화 또는 효율화를 하라는 명령이 떨어집니다. (보통 위와 같은 이유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탑다운으.. 2023. 9. 4.
스페셜리스트와 제네럴리스트 그리고 DX 얼마전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부서이동을해서 SW개발팀에서 지원팀으로 이동을 했습니다. 하는 일은 비슷(?) 하지만 상위부서가 바뀌었다고 해야하나, 소속부서가 바뀌었다고 해야하나. 어쨌든 부서는 바뀌었습니다. 지금도 하는일은 SW개발이긴 하지만 조금 다른 단어가 붙었습니다. 바로 DX. DX 가 뭔지 생소하신 분도 있고 많이 들어보신분도 있을텐데, DT로도 불리는 DX는 보통 digital transformation 을 말합니다. 기존의 업무나 프로세스, 여러가지를 디지털화 한다는 의미인데, 해석을 보면 그렇게 생소하지는 않습니다. 지원팀에서는 개발자, 또는 전 개발자를 스페셜리스트라고 부릅니다. 그러면 기존에 계시던 분들은 자연스럽게 제네럴리스트가 됩니다. 그러면 스페셜리스트와 제네럴리스트는 어떤 차이가 .. 2023.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