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산관리 이야기78 생산관리 용어 : 채찍효과 (Bullwhip effect) SCM 용어중에 하나인 채찍효과는 해석을 한번만 보면 평색 기억에 남을 정도로 잘 만들어진 단어 중에 하나입니다. DM, RTF, RTF충족률 같은거는 저도 계속 헷갈려서 필요할때마다 찾아보고 다시 이해하고 하는데, 채찍 효과는 헷갈릴 수가 없습니다. 위키백과를 보면 해석이 잘 나와있죠.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저기입니다. 참여주체를 하나씩 거쳐서 전달될 때마다 계속 왜곡됨을 의미한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볼께요. 고객은 우리회사로부터 매월 A제품을 평균 100개씩 구매합니다. 하지만 매월 100개씩 사겠다는 약속을 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다음달에도 100개를 산다는 보장은 없어요. 물품을 파는 회사의 어려움중에 하나인데, 고객사의 규모가 크고, 신뢰도가 높은 사회적으로 덕망 있는 고객사라고 해서 다음달.. 2022. 4. 16. 고객사 라인에서 우리 제품 불량이 발견됐다. (품질직무 하는일) 아무리 IT 회사가 잘나가고 좋다고 한들, 아직까지는 제조업 회사가 많이 있고, 실제 눈에 보이는 제품을 생산해 내는 것으로 기업이나 국가의 기반을 다진다. 나는 산업공학이나 생산관리의 이야기를 많이 다루지만, 품질부서, 품질직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파타고니아는 품질을 우선으로 한다. 여기 타협은 없다. 매출지향적인 기업은 품질을 어느정도 희생하고 정시에 배송을 하려 할 것이고 대량 판매를 하는 사람이라면 품질과 정시배송을 희생하고 저렴한 비용을 고수할 것이다.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좋은 제품을 만드는데 헌신하기로 했다면 선반에서 색이 바랜 옷감이나 쉽게 고장 나는 지퍼, 떨어지는 단추를 용납해서는 안된다. 제조업에서 일한다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부서중에 하나가 바로 품질이다. 품질담당자.... 2022. 4. 10. 생산관리는 현장사람들과 얼마나 싸우나? 생산관리라는 직무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보니 많이 물어보는 질문 중에 하나이다. 생산관리 일을 하면 현장 (제조) 사람들과 얼마나 많이 부딪히게 되는지, 얼마나 많이 싸우게 되는지? 나도 생산관리 직무로 경험해본 회사가 2~3군데 밖에 안되는지라 이 범위 안에서 밖에 모른다. 다른 회사들은 어떻게 생산관리 담당자들이 일하는지, 어느 업무 범위에서 일하는지 자세히는 모른다. 하지만 여러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글을 찾아보다 보면 대략 알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회사 by 회사 라는 것이다. 첫번째 생산관리 나는 지방에서 첫번째로 생산관리 담당자로 일했다. 이 회사는 굳이 구분하자면 제조와 굉장히 많이 만나는 생산관리 케이스였다. 내 자리와 사무실은 제조라인의 2층에 있었고 1층으로 내려가면 바로 제조라.. 2022. 4. 7. 산업공학과 구매직무 산업공학 전공으로 취업 준비를 하다보면 생각보다 "산업공학" 이라는 단어를 보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된다. ㅠㅠ 생산관리나 품질쪽에 간간히 보이기는 하지만, 또 사막에서 바늘 찾듯이 보이는 직무가 바로 구매... 구매직무에서의 산업공학을 생각해봤다. 구매직무의 모집요강을 보면 전공무관, 특정 이공계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특정 이공계 (기계, 화공, 전기, 전자 등) 를 구매직무에서 뽑으려는 이유는 아마도 구매해야 하는 대상 자재나 설비를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하기 때문일 것이다. 화학회사에서 화학물질을 구매해야 하는데, 이 화학물질이 어떤 위험이 있는지, 어떻게 보관해야 하는지, 몇급 위험물인지 등등 아무것도 모르면서 구매직무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구매직무에서는 구매하고 .. 2022. 4. 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