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산관리 직장인79 뉴욕 택시 배차시스템 해킹으로 돈벌기 며칠전 뉴스에서 본 내용중에 재미있는 내용이 있었다. 뉴욕에서는 공항에서 택시로 손님을 태우기 위해서는 어떤 시스템을 이용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카카오택시같은 시스템일 수도 있고, 해외에서 잘 사용하는 우버같은 시스템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나는 뉴욕에는 가보지 않았지만, 미국 공항에서는 보통 현지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외부인이 많기 때문에, 아마도 그냥 택시 타는 곳에 줄을 서 있으면 공항 직원이 알아서 택시를 하나씩 배정해 줬던 것으로 생각하면, 카카오택시 같은 시스템이라기보다는 공항과 택시시스템이 알아서 대기중인 택시들을 들어오라고 하는 시스템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뉴욕 가고싶다.) 어쨋든 택시시가들은 공항에 무분별하게 입장을 할 수는 없었고, 조금 근처에서 시스템에 대기를 걸어놓고 기다.. 2022. 12. 22. 중국항공제한에 따른 생산관리의 근심걱정 몇달 전에 중국정부 코로나 이유로 운항 제한해서 정상운임의 2~10배까지 오른적이 있었습니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를 이유로 베이징등의 중국의 주요 도시의 항공을 제한 하고 있었죠. 제한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제한된 상황에서의 항공기 공급이 수요에 비해 월등이 부족하게 됐습니다. 일단은 이슈의 시작으로 여행사의 티켓이 이슈가 되었죠. 여행사는 일정 좌석을 미리 구매를 해놓기 때문에미리 정상가격에 샀던 비행기 표가 희귀해지면서 더 비싸게 팔았습니다. 인천 베이징 비행기표가 400만원, 이코노미가 400만원인가? 편도네요. 왔다갔다 하면 800만원. 공항에서 가격이 오른 커피두잔 마시면 801만원. 가격을 올리는 놈들은 항공사가 아닌 여행사입니다. 어차피 여행사가 미리 사놨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여행사를 통.. 2022. 12. 10. 환율과 중소기업 이건 예전에 중소기업 다닐때의 이야기 입니다. 2008년 정도 였는데, 회사매출이 1년에 1000억 정도 되는 회사였어요. 그런데 회사의 판매가 점점 감소하더니, 우리나라에서 그 제품을 팔때 주던 보조금이 있었는데, 보조금이 어느정도 먹고 살만한 수준이었거든요. 그런데 그 보조금의 액수가 점점 줄어들기 시작하는 겁니다. 판매량도 줄고, 보조금도 줄고 매출이 곤두박질 치기 시작했습니다. 이게 주식시장에 상장한 회사들은 적자가 몇년 이상나면 안된다는 규칙이 있어요. 적자가 날 것이 예상되고, 주가가 떨어지지는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었는데,(물론 사장님이) 연말에 매출이 1000억 이상이 났다고 하는 겁니다. 어? 그럴리가 없는데? 하고 다시한번 매출예상을 봤는데, (사실 우리생산관리팀이 만든 자료라 의심할 .. 2022. 12. 10. 환율과 생산관리 코로나가 어느정도 위험수위가 낮아지고 끝났다는 생각이 강해지면서, 일정 부분 세계적인 긴축 정책과 경제 불황을 예상하고는 있었지만, 당연스럽게도(?) 저는 이런 시기에 현금을 준비하지 못하고 자산의 가치 하락과 함께 또 쓸려나가고 있습니다. ㅠㅠ 집값도 폭락하고 주식도 폭락하고 코인도 폭락하고 내가 가지고 있는건 다 왜 이모양인지 ㅠㅠ 환율에 대한 이야기를 할려고 하는데 달러환율이 요즘 어떻게 되는지 보고 계신가요? 제가 얼마전엔 본 원달러 환율이 1345원 입니다. 제가 처음 생산관리를 시작한 시기가 2010년 정도 인데, 회사에서는 매출을 확정하는 기간이 있는데, 이때 생산관리는 직무상 몇개 팔릴것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기 때문에 수량에 판매가격을 곱하면 매출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제가 다니던 곳은.. 2022. 12. 1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