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날이 매우 덥습니다. 하루 반짝 시원한척 하다가 다시 더워지는게 하루도 안봐주고 계속 덥네요. 언젠가 이 글을 나중에 겨울에 보시는 분도 있겠지만, 2021년의 8월은 너무 더웠노라고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ㅠㅠ
생산관리 직무와 가장 많이 부대껴서 일하는 직무는 어디일까요? 뭐 말하기 나름이지만, 저의 경우는 영업부서였습니다. 어떤 분들은 내성적이고 사무실에 앉아서 조근조근 컴퓨터로 데이터나 시스템 다루는 생산관리를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가장 많이 만나야 하는 직무는 바로 정반대인 영업부서입니다.
영업에서는 demand (디맨드, DM) 라는 숫자를 다룹니다. demand 직역 하면 수요, 요구하다 정도가 되려나요? 고객사가 이 숫자만큼 요구했으니 해당주차에는 이 숫자만큰 판매할수 있게 해달라, 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영업에서는 고객사와 협의 후에 A제품을 30주차에 1000개 보내주기로 했습니다. 그러면 시스템에 입력을 해야겠죠.
W28 | W29 | W30 | W31 | ||
A제품 | DM | 1000 |
원래 시스템에는 칸칸마다 매주 꽉꽉 채워넣기 때문에 이렇게 한가로이 비어있지는 않습니다만, 일단 예시니까요! 자 이런식으로 영업에서는 A제품의 DM 이 W30 에 1000이 있습니다. 라고 입력을 합니다. 입력시간이 마감이 되면 이 데이터는 바로 생산관리 등 타부서로 넘어가게 됩니다.
A제품을 30주차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제조의 인력 배분, 설비 배분, 구매의 자재 구매, 품질의 품질검사 대응, 물류의 제품 이동 준비 등 여러부서에서 사전에 해야 하는 업무가 많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단 DM 가 들어왔다고 해서 바로 타부서들이 1000이라는 판매숫자를 맞추기 위해 아직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바로 이때 생산관리가 1차로 데이터를 받아 점검을 시작하는 거죠. A제품의 판매 가능한 재고가 좀 있는지? A제품을 추가 생산해도 되는지? 30주차에 판매한다는 영업의 계획이 너무 무리한 계획은 아닌지? 등등을 점검합니다. 그리고 여러가지를 확인 한 후 30주차에 판매하기 위해 29주차에 생산을 해도 되겠다는 판단이 서면, 29주차의 생산계획 1000을 내립니다.
W28 | W29 | W30 | W31 | ||
A제품 | DM | 1000 | |||
PROD | 1000 | ||||
RTF | 1000 | ||||
Short | 0 |
이런식으로 29주차에 1000개의 생산계획을 내립니다. 어렵지 않죠? ㅎ.ㅎ
30주차에 판매할 물건을 29주차에 생산하는 이유는 아래 포스팅에서 다시 이야기 하겠습니다. (TBD)
그리고 영업의 DM 에 대응해서 PROD, 즉 생산계획을 입력했더니 RTF라는 새로운 숫자가 나왔죠? 이것도 아래 포스팅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숫자인 Short 도 있습니다.
생산관리에 대한 내용을 짤막짤막하게 글로 적어보고 있는데, 유튜브로 하던것보다 여러가지 표를 이용하니까 설명하기가 수월하네요. 내용이 볼만 했으면 아래 유튜브로 한번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설비가동률이란 무엇일까요?
'생산관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관리 생산방식 *주문 생산 방식 make to order (0) | 2021.08.17 |
---|---|
생산관리 생산계획의 용어정리 * Demand (0) | 2021.08.10 |
생산관리 생산계획의 용어 정리 * Short (1) | 2021.08.07 |
생산관리 생산계획의 용어 정리 * RTF (0) | 2021.08.04 |
제조업의 생산관리 직무는 어떤 일을 할까요? (3)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