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산관리 이야기78

KPI 를 왜 만들어야 하는가? 회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중에 KPI 라는 것이 있습니다. KPI : KEY PERFORMANCE INDEX 복잡하게 말해서, 너의 업무성과를 책정하기 위해서 바로 이 점수(지표)를 주의깊게 보겠다. 너의 성적이 되는 점수는 바로 이것이다. 하는 점수 측정기, 점수 스카우트 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한 방향으로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해주기도 합니다. 쉬운 예로 들어서 생각해볼께요 영업부서가 있습니다. A 제품을 파는 영업부서입니다. A 제품을 파는 영업부서의 경우에 KPI 를 어떻게 정의하면 좋을까요? 가장 쉬운 것으로 "A 제품의 매출 100달러" 이렇게 정의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면 이 부서 사람들, 어떤 사람의 올해 목표는 바로 이 KPI 가 됩니다. 만약에 어떤 사람이 와서 .. 2023. 11. 17.
고등학생과 컴퓨터활용능력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가장 조회수가 많이 나온 영상이 자격증에 관련된 영상이다. 특히나 컴퓨터 활용 능력, 컴활에 관련된 영상. 영상의 요지는 굳이 이력서 한줄 늘릴려고 따는거면 비추하고, 공부하기 위해서 따는 거면 따라.. 이런 이야기였는데, 여러가지 갑론을박이 많았다. 그만큼 자격증, 엑셀, 컴활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도??!) 하지만! 그렇게 관심이 많은것 치고 요즘 학생들은 별로 관심 없는 것같다. 여기서 말하는 학생들이란 고등학생 이하를 말한다. 나름대로 여러군데를 다니면서 학생들에게 엑셀을 가르칠 기회가 있었는데, 그 중 고등학생 대상으로 교육을 좀 할 기회가 있었다. 생각으로는 어느정도 나름대로 어렸을 때 부터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을 접해온 세대이니.. 2023. 11. 17.
KPI 를 만드는 이유 (학생의 경우) 회사에서 일하다보면 자주 듣게 되는 이야기가 KPI가 뭐냐? KPI 가 있느냐? KPI 를 어떻게 만들고 평가하는가? 이다. 회사에서 만드는 KPI 도 이야기를 하겠지만, 먼저 우리가 학생일 경우를 가정해서 한번 KPI 를 만들어 보면 이해가 빠를 것 같다. 자 우리는 학생이다. 무언가 목표를 가지고 올한해를 잘 지내고 싶은데 막상 아침에 일어나면 뭐부터 해야할지, 뭘해야 잘 살고 있다는 평가를 받을지 고민이다. 몇가지 큰 목표를 먼저 정해보기로 한다. 1. 공부를 열심히 해서 학점 4.0을 받는다. 2. 생활비가 좀 부족하다. 아르바이트를 해서 한달에 40만원 정도는 스스로 벌어본다. 3. 취미생활의 소비는 한달에 20만원으로 정한다. 4. 배운것을 정리하기 위해 블로그 포스팅을 한달에 15개 작성한다.. 2023. 11. 5.
KPI의 충돌 (영업팀과 지원팀)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 로 회사원들이 일을 하면서 기준으로 삼고 일을 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합니다. 한마디로 이 KPI 점수가 높으면 이것을 근거로 연봉협상을 잘 할 수 있는 것이고, 아무리 1년동안 열심히 일했다고 하더라도 이 KPI 가 낮으면 집에 가도 할말이 없습니다. 그만큼 KPI 를 잘 설정하고 점수가 잘 나오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책상에 써서 붙혀놔야지) 회사에는 여러가지 부서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일을 합니다. 같은 목적(회사의 이익)을 가지고 일을 해야 맞겠지만, 너와 나의 KPI가 다르니, 세밀하게 본다면 다른 목적을 가지고 일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 KPI 가 서로서로 잘 물려 있어서 회사의 발전과 임직원의 발전으로 이어지면 좋겠지만, 그게 또 어렵.. 2023.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