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산관리 이야기78

월급 500만원 받는 회사원이 타락하는 루트 취업을 준비하는 때에는 "사람들이 일이 힘들어서 퇴사한다"는 소리를 들으면, 아니 뭐가 그리 힘들어서 그렇게 힘들여서 들어간 회사를 퇴사해? 한달만 더 버티면 또 월급이 나올텐데? 등등의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생각이 바뀌더라구요. 제 주변 사람 이야기로 한번 일반화를 시켜보겠습니다. 줄여서 일반화의 오류라고 하죠? 월급이 500만원입니다. 아직 결혼은 안했고, 사치를 부리지는 않기 때문에 돈이 어느정도 모입니다. 월마다 500만원씩 통장에 들어오고, 보너스로 가끔씩 1000만원씩 들어옵니다. 그런데 일이 좀 많아요. 그리고 그 일에 재미가 없습니다. 뭔가 일을 계속하긴 하는데, 반복작업이라 실력이 느는 것도 아니고 경력이 쌓이는 것도 아닌 것 같아요. 예를 들면 하루 일과가 출근해서 업체 .. 2023. 1. 9.
infp는 생산관리 어때요? 저는 mbti 를 즐겨사용하지는 않습니다만, 저는 일단 intp 입니다. -_- 예전에는 istp 였는데 요즘에는 intp 가 계속 나오네요. 사실 주변에 보이는 사람들 대부분이 혼자있고 싶고, 남한테 쓴소리 못하는 사람들입니다. 이건 mbti 라기 보다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기 싫어하고 힘들어하는 일입니다. 성격의 문제가 아닙니다. ("혼자있고 싶고" 는 조금 다를 수도 있겠네요) 직장을 다니면 변하다는 것이 이런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별의별 사람들 다 만나고, 더러운 일, 좋은일, 힘든 상황을 계속해서 겪다 보니 사람이 변하는 것 같아요. 구독자님의 말처럼 퇴사를 해버리는 극단적인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생산관리 부서에서 일하면서 적응하지 못하고 빠르게 퇴사하는 경우를 여럿 봤는데, 다른 부서사람들과.. 2023. 1. 9.
생산관리부서의 산업공학과 비율 회사마다 비율이 다르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이걸 정확히알려면 많은 회사의 생산관리나 품질관리 부서의 인원을 알아야 하는데, 사실 인력이나 조직도에 관한것은 대외비라서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_- 제가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알려드리자면, 회사에서 추구하는 방향이 중요합니다. 생산관리의 담당자들이 생산관리를 잘하는 산업공학이나 경영학과 사람들을 뽑아서 제품을 공부시킬 것이냐, 아니면 제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관련 전공자를 뽑아서 생산관리를 가르칠 것이냐에 대한 차이입니다. 어느 것을 더 중요시하는지, 어느방향이 더 비용이 적게 드는지를 고려하면 되겠죠. 규모가 큰 회사라면 예를 들어 생산관리부서의 30% 는 산업공학전공, 30%는 경영학 전공, 40%는 제품관련 전공으로 꾸릴 수도 있겠죠. 어느정도.. 2023. 1. 9.
공대가 해외영업 지원할때 음... 무슨 말인지? 조금 고민했는데, 해외영업부서를 지원한다고 하면 이과가 유리한지? (=공대가 유리한지?) 로 이해하겠습니다. ㅋㅋㅋ 일단 회사바이회사인데, 회사에서는 해외영업부서에 지원하는 사람들에 대한 기대하는 능력치가 있습니다. 외국어 실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입니다. 외국어 실력 당연히 네이티브수준 이여야 합니다. 외국인과 전화로, 이메일로, 대면에서 이야기하면서 상대를 이해시키고 상대방이 하는 말, 숨은 뜻, 왜 저런말을 하는지 이해하고, 정리해서 보고서로 작성, 회사에 전달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이과 문과의 구분이 의미가 없습니다. 아마 전공도 의미가 없을겁니다. 필요한 것은 외국어 실력입니다. 미주영업이라고 해서 영어영문학과가 유리한 것이 아닙니다만, 외국어의 실력도 더불어 영어권의 문화.. 2023. 1. 9.
반응형